본문 바로가기
주식시장리뷰

반도체 소재 강소 기업 퓨릿 주가 전망

by 두란 2025. 7. 2.
반응형

반도체 업황 회복에 따른  반도체 소재 강소 기업 퓨릿에 대한 브리핑 시작합니다.

 

기업 소개

 

동사는 2010년 '신디프테크놀러지'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신디프로 상호 변경을 거쳐 2023년 2월 현재의 퓨릿으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2019년 한국알콜산업이 지분 69.96%를 취득하면서 한국알콜그룹에 편입된 기업입니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너(Thinner) 소재의 원재료를 공급하는 국내 유일한 업체로, 반도체용 고순도 EL(Ethyl Lactate) 양산이 가능한 독점적 지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퓨릿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주요 사업 영역 : 유기용제 정제 및 제조, 반도체용 고순도 케미칼 제품 생산, 폐 유기용제 재생 사업 (ESG 부합), 전자재료 공급

 

기회 요인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약 7,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퓨릿에게는 다음과 같은 기회 요인들이 있습니다

1. 성장 동력 :

1) AI 반도체 수요 증가: 고성능 컴퓨팅용 소재 수요 확대

2) 2nm 공정 경쟁: 첨단 공정용 고순도 소재 필요성 증대

3) HBM 메모리 시장 성장: 고대역폭 메모리용 소재 수요

 

2. 리스크 요인: 중국 업체들의 저가 경쟁 심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불확실성, 반도체 업황 변동성

 

핵심 성장 동력

 

1. 3공장 가동을 통한 생산능력 확대

퓨릿은 충남 예산에 3만3,485㎡ 규모의 3공장을 건설 중이며, 2025년 완공 예정입니다. 완공 후 총 생산능력은 현재 대비 2.5배 증설되어, 급증하는 반도체 소재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됩니다. 3공장 가동은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고객사 다변화를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반도체 업황 회복의 수혜

AI 수요 강세에 따른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 확대로 D램 가동률이 2024년 4분기부터 회복되고 있으며, NAND는 2024년 1분기부터 개선이 시작되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웨이퍼 투입량 증가는 퓨릿에게 직접적인 호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신고가와 삼성전자의 바닥에서 주가 상승 신호는 긍정으로 받아들여집니다.

 

3. 주요 고객사 투자 확대:

1) 삼성전자: 월평균 D램 웨이퍼 투입량을 59만장에서 60만장으로 상향 조정

2) SK하이닉스: 월평균 D램 웨이퍼 투입량을 39만장에서 41만장으로 증가

3) 인텔: 1,000억 달러 규모의 중장기 투자 계획 발표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1. 신사업 영역 확장

동사는 기존 반도체 소재 사업을 넘어 다음과 같은 신사업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1) 2차전지 소재 사업: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새로운 성장 동력

2) 리사이클링 사업: ESG 경영에 부합하는 자원 순환 사업

3) 산업용 케미컬: 기존 사업 영역의 확장

 

2. 고객사 다변화 성과

동사는 2023년 듀폰과 인텔을 신규 고객사로 확보하며 글로벌 레퍼런스를 구축했습니다. 이는 상대적으로 고마진인 반도체 케미컬과 합성제품 비중 확대를 통한 전사 이익률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업 실적

 

동사의 시가총액은 1108억원, 현재 주가는 약 6,500원 수준으로, 2023년 10월 상장 당시 공모가 10,700원 대비 약 39% 하락한 상태입니다. 주요 밸류에이션 지표로는 per 8.04(업종 대비 상대적으로 저평가), pbr 1.06배로 저평가 영역이며 배당성향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3%의 낮은 부채비율과 1000%대의 높은 유보율로 재무건전성이 우수한 기업입니다.

 

종합적으로 평가 시, 주가 대비 낮은 벨류에이션으로 저평가된 상태이며  25년 실적 성장이 예상되며  3공장 가동이 임박하여 본격 가동된다면 실적 레버리지가 기대됩니다.

 

기술적 분석

 

<퓨릿 일봉 차트>

상장 이후 약 40% 디스카운트 된 가격에서 박스권을 만들고 있습니다. 최근 모든 이평선을 깔고 장대양봉을 만든 뒤 전고점 부근에서 조정을 보이고 있는데 눌림목 조정 구간입니다. 조정 이후 다시 거래량 증가 양봉이 나온다면 중기 9,000원 돌파 시도가 나올 수 있는 가격 위치입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