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시장리뷰

심텍 외 소캠(SOCAMM) 관련주, 2차 상승파동 시작할까?

by 두란 2025. 3. 16.
반응형

제2의 HBM이라고 불리는 소캠기술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대장주 심텍 외 소캠(SOCAMM) 관련주가 과연 2차 상승파동이 시작될지 관련하여 브리핑 시작합니다. 

 

우선, 생소한 기술인 소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캠(SOCAMM)이란?

 

SOCAMM(System on Chip Advanced Memory Module)이란?

개인용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 대중화에 특수 D램 모듈이 필요한데, 엔비디아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과 협력하여 개발 중인 차세대 메모리 표준을 말합니다. 아래 기사에 내용이 잘 나와 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51232

 

엔비디아, '제2의 HBM' 상용화 나서…삼성·SK와 극비 협의 [biz-플러스]

엔비디아가 ‘제 2의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상용화하기 위해 삼성전자(005930)·SK하이닉스(000660) 등 메모리반도체 회사들과 극비리에 접촉하며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엔비디아가 ‘

n.news.naver.com

기사에 나와있는 소캠의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1. SOCAMM은 기존 소형 PC 및 노트북에 쓰이는 D램 모듈보다 ‘가성비’가 뛰어납니다.

기존PC에는 SODIMM이라는 D램 모듈이 장착돼 범용DDR4나DDR5DDR5D램을 사용하지만, SOCAMM기판 위에 저전력이 장점인LPDDR5X’ D램을 얹기 때문에 전력 효율성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2. SOCAMM은 694개의 I/O 채널을 제공하여 기존 DRAM(260개)과 차세대 저전력 모듈 LPCAMM(644개)보다 더 많은 데이터 전송 경로를 확보하고 있으며, 향상된 I/O 채널을 갖고 있어 AI 컴퓨팅의 최대 난제였던 데이터 병목현상을 다른 모듈보다 훨씬 수월하게 해결 가능합니다 (* I/O 채널이란?  D램과 전자기기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인 출입구를 말함)

 

3.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식 설계업그레이드되는 메모리 모듈을 쉽게 갈아 끼워 PC 자체의 성능을 계속 개선할 수 있으며, 크기도 작아  동일 면적에 더 많은 D램 모듈을 장착해 전자기기의 D램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한 줄로 요약하면

기존의 메모리보다 "크기는 작지면 고용량의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메모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심텍 외 소캠(socamm) 관련주
1.심텍:반도체 패키지 기판 및 모듈 제조 전문 기업으로 고성능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하는 기업임.
엔비디아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로 SOCAMM 개발에 참여 중인 기판 공급사로 언급되었고, SOCAMM 생산에 필수적인 고밀도 기판 제조 기술 보유. 2025년 실적 개선 및 SOCAMM 관련 수주 확대 기대

2.티엘비:인쇄회로기판(PCB) 제조 전문 기업으로 SOCAMM 모듈용 기판 제조하는 기업임.
SOCAMM 기술에 필요한 고다층 PCB 생산 능력 보유하고 있고, 고성능 메모리 모듈 시장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예상됨.

3.코리아써키트:PCB 제조 전문 기업으로 고다층 PCB 제조 및 SOCAMM 모듈용 기판 생산하는 기업임.
SOCAMM 기술에 필요한 고다층 PCB 생산 능력 보유하고 있으며, 고성능 컴퓨팅 시장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증가 예상됨.

4.대덕전자:PCB 및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 전문 기업으로 고성능 PCB 및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 및 SOCAMM 모듈용 기판 생산하는 기업임.

5.오픈엣지테크놀로지:시스템 반도체 설계 IP 전문 기업으로 메모리 컨트롤러 IP 개발 및 SOCAMM 관련 시스템 반도체 설계 기업임.
SOCAMM 기술 구현에 필요한 메모리 컨트롤러 IP 개발 및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한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 시장 입지 강화가 예상됨.

 

이 중 SOCAMM 관련주로 부각되면서 1차 상승 시 가장 크게 상승했던 심텍(약, 100% 상승)과 티엘비(약 80% 상승)를 대장과 부대장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심텍은 올해부터 적자폭을 크게 개선하면서 흑자전환을 예상하고 있으며 티엘비 역시 실적 상승세가 좋은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심텍 실적 추이, 네이버 증권 발췌>

 

24년 영업이익이 -515억 원에서 25년 -24억 원으로 적자폭이 크게 개선될 예정이며 (일부 증권사 전망에는 흑자전환도 예상하고 있음) 26년부터는 646억 원이라는 큰 폭의 영업이익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티엘비 실적 추이, 네이버 증권 발췌>

 

티엘비 역시, 매출액 및 영업이익의 실적 추이가 크게 상승됨을 알 수 있습니다. 심텍과 비교 시 재무흐름은 더 양호하지만 주식은 영업이익이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서는 기업을 더욱 좋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어 개인적으로 심텍을 대장주로 꼽고 있습니다.

2차 상승파동 시작?

 

<심텍 월봉 차트, 네이버증권 발췌>

 

심텍의 월봉 차트를 보면, 2022년 3월 최고가 58,300원을 기록 후 2년 동안 하락을 하였고 N자 하락 파동을 완성 후

2025년 3월 거래량을 역대 최대 동반한 장대양봉을 완성 후 현재 눌림 조정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1차 상승 목표치는 하락 추세선에 부딪히는 자리인 약 26000~28000원 내외로 예상되지만, 그 부분에서 어느 정도 조정 뒤 실적전망이 좋은 점을 감안한다면, 2차 상승 목표치는 전고점 약 35,000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해 볼 수 있습니다.

 

<심텍 일봉 차트, 네이버증권 발췌 >

 

일봉상, 바닥을 쉽게 10,000원으로 잡고 1차 상승 목표값을 쉽게 20,000원으로 본다면 약 10000원이 올라 100%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조정의 최저값을 17,000원으로 보고 여기에 1차 상승 값인 10000원을 더해주면 다음 N자 목표치가 34,000원 내외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수적으로 32,000원부터는 분할매도전략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결론적으로, 심텍은 32,000~35000원까지 추가 상승이 가능하여 2차 상승 파동이 시작될 것으로 봅니다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니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소캠 관련주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반응형